미국에서 지내다 보면 미국에서 한국으로 송금을 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예전에는 은행 대 은행으로 보내는 방법 밖에 마땅한 방법이 없었는데, 4~6만원 정도의 수수료를 내야해서 보낼 때 부담이 적지 않아 보내는 횟수를 줄이고 한번에 많이씩 보내는 쪽으로 선택해야 하곤 했습니다. 특히, 은행 대 은행으로 국제송금 시에는 보내는 쪽도 받는 쪽도 수수료를 각각 부과하기 때문에 수수료가 적다고 할 수 없습니다.
최근에는 핀테크 기업들이 이 빈자리를 채우면서 미국에서 한국으로 송금 부담이 어느정도 줄었습니다. 대형 은행들이 신뢰하기는 더 좋겠지만, 수천만원에서 수억 이상의 금액이 아닌 수십만원에서 수백만원 정도의 금액을 보내기에는 시간도 오래걸릴 뿐더러 양쪽에서 모두 부과하는 수수료가 너무 비싸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틈을 몇몇 핀테크 기업들이 파고들어 더 저렴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런 핀테크 기업 중 가장 잘 알려진 기업 중 하나인 Wise를 통한 미국에서 한국으로 송금하는 내용에 대해 실제 송금 후기와 함께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글 시작에 앞서, Wise를 통한 송금 시 리퍼럴 링크로 시작하면 수수료가 할인되니 아래 리퍼럴 링크로 회원가입을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직접 가입 시 할인 없음)

참고로, Western Union을 통해 한국으로 송금했던 후기를 담은 포스팅이 있어 함께 공유드립니다.
Table of Contents

Wise는 어떤 기업
Wise(이전 명칭: TransferWise)는 국제 송금 및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핀테크 기업입니다. Wise의 주요 목표는 국제 송금을 더 저렴하고 투명하며 효율적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기존의 은행 송금 방식과 달리, Wise는 다른 국가 간의 송금을 위해 실제 환전을 하지 않고도 현지 통화를 사용하여 송금을 처리합니다. 이 방식은 환율 마진을 줄이고, 한국으로 송금 수수료를 낮추는 데 도움을 줍니다. 사용자는 Wise의 플랫폼을 통해 다른 국가의 수취인에게 현지 통화로 돈을 보낼 수 있으며, 송금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수수료와 환율이 명확하게 표시됩니다.
Wise는 개인 및 기업 고객 모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며, 여러 통화로 계좌를 관리할 수 있는 다중 통화 계좌 기능도 제공합니다. 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통화로 돈을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 환전할 수 있습니다. 또한, Wise는 모바일 앱과 웹사이트를 통해 쉽고 편리한 송금 경험을 제공합니다.
Wise의 송금 방식
기본적으로 Wise와 같은 기업들은 같은 국가 내 송금은 비용이 적은 점을 이용합니다. 한국에서도 국내 계좌이체는 대부분 무료인 것을 이용한다는 것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한국으로 송금할 경우, 송금자는 미국 내 Wise 계좌에 USD(미국 달러)를 입금하고, Wise는 한국 내 계좌에서 KRW(한국 원화)를 수취인에게 지급합니다. 이 과정에서 국가 간 자금 이동이 발생하지 않아 수수료가 크게 절감됩니다.


같은 국가 내에서는 수수료가 없거나 적으니, 각 국가에 계좌를 두고 한 국가에서 입금되면 다른 국가의 계좌에서 돈을 보내주는 방식입니다. 한 국가 내에서는 송금도 빠르기도 하고 (단, 미국에서는 일부 오래걸리기도 함) 한국에서는 송금이 즉시 이루어질 수 있으니 시간도 은행 대 은행보다 적거나 못해도 비슷합니다.

기존의 은행 송금 방식과 달리, Wise는 다른 국가 간의 송금을 위해 실제 환전을 하지 않고도 현지 통화를 사용하여 송금을 처리합니다. 이 방식은 환율 마진을 줄이고, 송금 수수료를 낮추는 데 도움을 줍니다. 사용자는 Wise의 플랫폼을 통해 다른 국가의 수취인에게 현지 통화로 돈을 보낼 수 있으며, 한국으로 송금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수수료와 환율이 명확하게 표시됩니다.
즉, Wise와 한국 협력업체 간 거래비용이 은행에서 부과하는 수수료보다 적을 수 있으면 더 적은 비용으로 사업모델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이 되겠습니다. 충분히 신뢰 가능하고 송금액이 매우 크지만 않으면 충분히 말이 되는 것 같습니다.
Wise의 송금 수수료
여러 업체들을 같이 비교해보면 Wise는 가장 적은편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장 잘 알려진 기업들에서 동시에 송금비용을 확인해 보니 아래와 같았습니다.

업체마다 첫 거래 이벤트 같은 혜택이 있기도 하지만, 이를 제외한 일반적인 비용은 Wise와 Remitly 두 업체가 비슷하게 가장 낮고, Western Union이 더 유명한 만큼 비용이 더 높은 것 역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점에 따라 Remitly가 더 저렴하기도 한데, 전반적으로 두 업체의 수수료는 비슷합니다.
금액에 따라서도 약간은 상이하기도 합니다. Wise는 환율은 기준환율로 계산하는 대신 금액에 따라 수수료가 올라가는 방식이고, Remitly는 수수료를 포함해 환율을 정해두는 방식입니다. 즉, 송금액이 올라가면 Remitly가 더 조건이 좋아질 수 있습니다.
Wise 한국으로 송금 후기
지금부터는 제가 직접 Wise를 통해 한국으로 송금한 과정과 후기를 소개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1,600 달러를 송금하였습니다. 원래 수수료는 15.93 달러로 2만원 정도 되겠네요.

송금까지 3일이 걸렸는데, 이는 미국 내에서 송금거래 소요시간이 종종 이렇게 오래걸리는 경우가 있어서 그런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이 이렇습니다..)
저의 경우 Wise 첫 거래이고 리퍼럴 코드를 사용하여 송금하여 약 7달러의 수수료 할인이 있었습니다. 리퍼럴 없이 직접 가입하여 송금하면 할인이 없으니 꼭 아래 리퍼럴 링크를 통해 가입하시고 송금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미국에서 송금이 완료되면 그 뒤로는 빠르게 진행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소개드리겠습니다.


보내기를 선택하면 누구에게 보내는 돈인지 선택 후 받는 사람의 정보에 대해 적도록 되어있고, 한국에서는 어느 은행 계좌인지를 선택하게 됩니다. 위 은행 외에도 한국에서 보이는 은행은 모두 있는 것 같습니다. 저는 하나은행으로 송금을 해보았습니다.

다음으로 송금 방식을 선택하게 됩니다. 카드로 결제하면 몇 분 내로 한국으로 송금이 완료될 수 있지만, 수수료가 꽤 비쌉니다. 그래도 은행보다는 저렴하니 급히 보내야 한다면 Debit card (체크카드) 옵션도 고려해볼 수 있겠지만, 저는 가장 저렴한 ACH (자동이체) 방식을 선택하였습니다.
ACH 방식이 3분이라고 되어있지만, 이는 이체 거래가 완료되면 걸리는 시간이고, 미국 내에서 이체거래가 완료되는 시간이 며칠실 걸리기도 하므로 급하다면 좋지 않은 방식일 수 있습니다.

참고로, 표면적으로는 Wire transfer 방식이 살짝 더 저렴한 듯 하지만, 더 잘 보아야 합니다. Wire Transfer는 Wise에서 이체를 해가는 것이 아니라 직접 송금을 하는 방식 입니다. 그런데, 실제로 은행에서 보내려고 하면 은행에서도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식이라 (Chase 기준 $25) 일반적으로는 별로 좋은 선택이 아닙니다.

필요한 내용 입력을 마치면 최종 거래 내용을 확인 후 송금을 시작하게 됩니다. 미국 계좌에서는 하루 내로 해당 금액이 빠져나갑니다. 돈 가져가는건 언제나 빠른 현실

그리고 약속된(?) 날이 되면 한국에서 확인을 기다린다는 내용이 뜹니다. 송금 시 입력했던 받는사람 이메일을 통해 신분증 확인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받은 메일에 있는 링크로 신분증을 등록하면 본인인증이 완료됩니다. 한국에서 통상적으로 볼 수 있는 방식과 동일합니다.




신분증은 한국에서 사용 가능한 종류는 주로 됩니다. 저는 운전면허증으로 인증하였습니다.
인증이 완료되면 얼마 지나지 않아 한국의 계좌로 입금이 완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시간으로 주말이라 다음주로 넘어가나 했는데 다행히 기한 내로 입금이 되었습니다. 금액 역시 처음 송금 시작 시 확인한 금액 그대로 전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Wise를 이용한 미국에서 한국으로 송금 소개와 이용 후기를 적어보았습니다. 대형 은행이나 Western Union 만큼은 아니어도 이 분야에서 어느정도 잘 알려진 기업인 만큼 송금도 정확하게 잘 진행되었습니다. Wise로 송금을 진행하고자 하시면 잊지 말고 이 리퍼럴 링크를 통해 가입하시어 수수료 할인 받으시길 바랍니다.
이상으로, 미국에서 한국으로 Wise를 통한 송금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Wise는 혁신적인 핀테크 기업으로, 사용자에게 저렴하고 효율적인 국제 송금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는 높은 수수료와 복잡한 환전 과정 없이 쉽고 빠르게 해외 송금을 할 수 있습니다. 특히, Wise의 투명한 수수료 구조와 실시간 송금 추적 기능은 사용자들에게 큰 만족을 제공합니다.
미국에서 한국으로 송금하는 경우, Wise는 신속하고 안전한 방법을 제공하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비용과 환율이 명확하게 제시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송금 과정을 더욱 쉽게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Wise의 서비스를 통해 국제 송금이 더 이상 복잡하거나 부담스러운 일이 아니게 되었습니다. 이제 전 세계 어디에서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송금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글로벌 경제에서의 소통과 거래를 더욱 촉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